2021년, 와이즈트래커 Version 2를 런칭하고 한 해 동안 다양한 고객사 분들을 만났습니다 🙂 이번 한 해 동안 와이즈트래커와 함께 앱 마케팅을 진행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인사 드립니다 🙏🏻

 

이번 포스팅은 2021년 와이즈트래커에서 앱 마케팅에 이용된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인사이트를 얻으실 수 있는 글로 준비하였습니다. 와이즈트래커의 고객사들이 가장 많이 이용한 광고 상품과 통신사, OS,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와이즈트래커 전체 고객사 데이터, 2021-01-01~2021-12-20 기준)

 

User Overview

먼저 월별로 본 앱 설치 수 트렌드입니다. v2 런칭 이후, 3월부터 집중적으로 고객사 유치를 진행하여 현 12월까지 와이즈트래커 SDK가 적재된 앱 설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다음으로는 와이즈트래커 SDK가 탑재된 플랫폼 정보입니다. AOS가 약 62%로 가장 많았고, iOS의 경우 34%, PC web 분석이 2%를 차지하였습니다. iOS의 ATT 이슈로 인해 Android 플랫폼 위주의 광고 캠페인 집행이 늘어난 점이 위 데이터에 일부 영향을 끼쳤습니다. (ATT가 궁금하다면 이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광고 관련 정보

광고 타입은 디스플레이 광고(DA)가 약 68%를 차지하며 다음으로는 검색 광고(SA) 약 31%로 나타납니다. 이와 연계하여 광고 매체의 경우, Google Ads, Facebook, 네이버 GFA와 같은 대형 매체 광고가 약 40%로 가장 많이 차지하며 리워드성 CPI (앱 설치 시, 유저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는 광고 타입) 제공 매체가 약 30%, nCPI 제공 매체가 약 20%로 나타납니다. CPI / CPE 광고가 앱 마케팅에서는 주를 이루다보니 이에 특화되어 있는 매체들이 주를 이루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OS 버전 관련 정보

OS 별로 살펴보시면, Android의 경우 현재 삼성 기기의 최신 버전인 Android 11 (API 30)이 약 67%를 차지하고 있으며, 뒤이어 이전 버전들이 차례대로 차지하고 있습니다. 흥미로운 사실은 Android 10 (API 29)가 2020년 7월에 배포되었는데 아직 업데이트를 진행하지 않은 Android 9 (API 28) 이하 버전이 약 10% 가량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고객들의 디바이스와 OS는 상당히 파편화 되어있기 때문에 이 부분 또한 염두에 두고 앱 서비스를 운영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022년부터는 Android 12 (API 31)이 삼성 기기에 정식 배포될 예정입니다. Android 12 버전부터는 ADID (광고 ID) 수집 방식에 변화가 있습니다. Apple의 ATT와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ADID 수집 허용 권한이 부여되며, 사용자가 Android 설정에서 “ADID를 사용한 맞춤설정 선택”을 해제하면 사용자의 ADID를 수집할 수 없습니다. 이를 위해 Google의 Permission 업데이트와 Wisetracker SDK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iOS의 경우, 14.5 버전 이상부터 ATT (App Tracking Transparency) 이슈로 인하여 애드테크, 특히 서드파티 트래킹 서비스에 상당한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위의 트리맵에서는 제외되어 있지만 iOS 14.5 버전 이상 부터는 사용자의 앱 추적 투명성 동의를 받지 않을 시 IDFA(광고 ID) 수집이 불가하며 “ANP”라는 null값으로 user-agent 값이 수집되고 있습니다.

0 : 광고 추적 차단 N / 1 : 광고 추적 차단 Y

2021년의 광고 추적 차단 여부 데이터를 확인해본 결과, ANP 값이 약 20% 이상 차지하고 있어, IDFA와 user-agent 데이터가 마케팅에 주요하게 쓰이는 vertical에서는 ATT 동의를 받기 위한 구현 방식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ATT 구현 방식에 대해서는 이 포스팅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ANP 값을 제외하고 iOS 버전을 살펴보시면 14.5 미만 버전이 약 80%를 차지합니다. 9월 21일자로 iOS 15가 한국에 정식 배포되었고 12월 14일 자로 iOS 15.2 버전까지 업데이트가 진행되었습니다. 하지만 ATT 이슈로 인해 iOS 15 이상의 유저 정보값을 수집하기 어려워 순위에 밀려있다고 판단됩니다.

 

통신사 / 디바이스 정보

마지막으로 통신사와 디바이스 정보입니다. 앱 마케팅을 진행하시는 많은 플레이어들이 궁금한 부분으로 생각이 되는데요. 디바이스 정보의, (특히 배너, 영상과 같은) 다양한 미디어 소재를 이용하는 광고를 진행할 시 디바이스 규격에 맞춰 배포하면 광고 최적화 작업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통신사의 경우, SK Telecom이 약 40% 이상으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통신사 정보의 경우, 통신사 멤버십 이벤트를 이용하여 앱 광고를 진행할 경우 유저들의 통신사 이용 비중에 맞춰 광고비 배분이 가능합니다.

 

디바이스 정보의 경우, 플랫폼 별 차지하는 비중 격차가 상당하여 플랫폼 별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Android 기기의 경우, 갤럭시 S21 > 갤럭시 Note 9 > 갤럭시 S10 > 갤럭시 Note 10+ > 갤럭시 Note 10 순으로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Android는 국내에서 거의 대다수가 삼성 기기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출시된 Z플립3(SM-F711N) 디바이스의 경우 접을 때와 펼칠 때 화면 크기가 변경되기 때문에, 광고 뿐만 아니라 앱 서비스를 제공할 때 디바이스 크기에 대해 고려할 점이 한층 더 심화된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OS 기기의 경우, iPhone 12 Pro > iPhone 11 Pro > iPhone XS > iPhone 12 Mini > iPhone 11 순으로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user-agent 값을 확인할 수 없는 ANP 데이터를 제외하고 확인하는 정보란 점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2021년 와이즈트래커의 고객사 데이터를 통해 다양한 앱 마케팅 인사이트를 전달드렸습니다. 2022년에도 모바일 마케팅 최적화를 위해 와이즈트래커는 발빠르게 움직이도록 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