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앱 시장은 날이 갈수록 성장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아이리서치(iResearch)에 따르면, 모바일 앱 시장은 2014년을 기점으로 2023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이 약 30%에 육박할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있습니다. 한국모바일산업협회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국내 앱 스토어 시장 규모의 경우 Google Play Store가 약 6조 8천억원, iOS App Store가 약 2조 6천억원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처럼 모바일 앱 시장에서 하루에도 수 천, 수 만개의 앱들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당장 이번 달에 앱을 출시해야 하는 모바일 앱 런칭 담당자인가요? 앱 개발과 테스트 모두 완료하였고 스토어에 배포할 단계만 남겨두고 있다면 주목해주세요. 앱 마케팅의 첫 단추는 제대로 된 스토어 내 배포입니다. 앱 스토어 최적화 작업을 통해 광고 없이 검색만으로 유저들의 install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ASO 정의 및 목적
앱스토어 최적화(App Store Optimization, ASO)는 앱 스토어 마케팅과 모바일 앱 SEO 개념이 합쳐진 것입니다. iOS App Store와 Google Play Store 내에서의 검색 최적화를 유도하기 위한 일종의 ‘Store SEO’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로고, 스크린샷, 비디오 등을 통해 시각적인 효과를 높이고 적절한 키워드 사용하여 타겟 고객들이 스토어에서 본인의 앱을 찾을 수 있게 하는 마케팅 과정입니다.
ASO를 진행하는 여러가지 목표가 있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목표는 App Install – Conversion입니다. 이 외에 중요한 목표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앱 검색 트래픽을 높이는 것
- 앱 랭킹 내에서 등수를 높이는 것
- 앱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것
- 긍정적인 앱 리뷰와 높은 별점을 받는 것
- 다양한 마케팅의 경로로서 앱 스토어를 활용하는 것
Apple 내부 자료에 따르면, iOS App Store 상에서 앱 다운로드 중 65%가 자연(organic) 검색으로 유입된다고 합니다. 단기적으로는 ASO 작업이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Google UAC와 Apple Search Ads와 같이 앱스토어 광고를 집행하면 자연 유입을 유도하는 것보다는 확실히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스타트업의 경우, 초반에 광고 운영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장기적인 측면으로 봤을 때 높은 확률로 앱을 타겟 고객들에게 노출시키기 위해서는 ASO 작업이 필요합니다.
ASO 구성 요소
ASO 구성 요소는 크게 Visual과 Keyword로 나뉩니다. Visual은 디자인적인 측면을 살려 타겟 고객들에게 자사 앱을 어필하는 과정이고 Keyword는 타겟 고객들이 많이 검색하는 키워드를 등록하여 검색으로 자사 앱을 노출시키는 방법입니다.
(1) Visual
제목
- 단순할 수록 좋습니다 : 아이콘이 복잡하면 작은 디바이스에서 알아보기가 힘듭니다.
- 알아보기 쉽게 만들어야 합니다 : 로고는 심플하고 직관적인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는 디자인이 좋습니다.
- 테스트, 또 테스트! : 사실 어떤 로고가 좋은 지 가장 정확하게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은 A/B 테스트입니다. Google Play Store에서는 A/B 테스트가 어렵지 않으나, iOS App Store 상에서는 third-party 서비스가 필요합니다.
스크린샷
-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스크린샷 창을 이용합니다 : iOS App Store에는 최대 10개, Google Play Store에서는 최대 8개의 스크린샷 업로드가 가능합니다.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공간을 이용해서 최대한 많은 사진을 올리시길 바랍니다.
- 대표적인 메세지 전달은 무조건 첫 장에! : 전체 스크린샷 중 첫 3장이 가장 중요합니다. iOS의 경우 3장, Google의 경우 4장이 검색에 걸리기 때문에 첫 3장 스크린샷 안에 대표 메세지를 꼭 넣어야 합니다.
- 스크린샷에도 스토리텔링이 필요합니다 : 잠재 고객들이 여러분들의 앱을 다운로드 받기 전에 스크린샷을 보고 전체적인 앱의 방향성과 내용을 이해합니다. 그들이 이해할 수 있게 스토리를 구성하여 작성해주세요.
비디오
- 첫 5초가 가장 중요합니다 : 유저들은 첫 5초 안에 영상에 맘에 들지 않으면 이탈할 확률이 굉장히 높습니다. 첫 5초에 임팩트있는 내용을 넣어주세요.
- 총 비디오 길이는 짧은 것이 좋습니다 : 업계 통상 15~25초 정도로 만들며, 최대 30초까지는 괜찮습니다.
- CTA를 포함한 스토리라인 구성이 필요합니다 : 비디오를 다 보고 나서 유저들의 행동을 유도할 만한 화면(ex. 지금 바로 다운로드 받기 등…)을 넣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단순하고 깔끔하게 만드는 게 좋습니다 : 너무 많은 비디오 효과는 유저들의 이탈을 유도합니다.
앱 스토어의 유저들은 크게 두 가지 부류로 나뉩니다.
한 부류는 오로지 디자인 적인 측면으로만 판단을 합니다. 앱 스토어에 접속하여 로고, 스크린샷 등을 빠르게 살펴본 뒤 바로 다운받거나 아니면 이탈하는 극단적인 모습을 보입니다. 이 부류의 경우, 65%가 스크린샷 첫 두어장 정도로 빠르게 앱을 파악한다고 합니다. 다른 부류는 훨씬 꼼꼼한 편입니다. 어떤 앱을 다운로드 받기 전에 비디오, 스크린샷, 설명, 리뷰 등을 꼼꼼히 읽어보고 다운로드 받을 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후자들이 다운로드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앱 런칭 초기에는 전자의 관심을 유도하는 것 또한 중요한 일이기 때문에 앱 스토어 내에서 시각적 효과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2) Keyword
제목(이름) / 부제목
- 앱 이름은 최대 30자 이내로 작성합니다 : Google Play Store는 최대 30자, iOS App Store는 최대 255자까지 허용하지만 보통 30자 이내로 작성할 것을 권유합니다.
- 앱 이름에는 보통 명사나 특정 고유 명사가 들어가서는 안됩니다.
- iOS App Store의 경우, 제목은 짧고 간결하게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부제목란에 중심 키워드를 넣는 것이 좋습니다.
- 눈에 띌 수 있는 개성있는 이름으로 작성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내용(설명란)
- 내용을 전부 읽는 사람은 5%에 불과합니다 : 내용 부분에서 ‘더보기…’ 이전 부분에 핵심내용이 반드시 포함돼 있어야 합니다. 이 설명란을 제대로 활용하면 전환율을 최대 13%까지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Google Play Store의 경우, 등록 키워드 설정이 따로 없으니 앱 설명 부분이 구글 검색에 걸리기 때문에 4000자 내용 안에서 중심 키워드를 포함 작성합니다.
등록 키워드
- iOS App Store에서만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 최대 100자까지 입력이 가능하고, 공백도 글자 수로 처리하기 때문에 공백 없이 쉼표로 키워드를 분류합니다. (ex. 여행,숙박,여기어때,야놀자,바캉스)
- 타사 명이나 유명 인사 이름을 불법적으로 사용하면 제재를 받습니다.
- 특수문자를 사용하면 안됩니다.
- 앱 설명에서 등록한 키워드를 반복해서 사용할 수는 있지만 최대한 그러지 않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 문장보다는 단어로 작성하며, 연결어는 사용하지 않고 명사 위주로 작성합니다.
- 관련 키워드는 구글 트렌드나 네이버 데이터랩, 구글 서치 콘솔 관련 키워드 등을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다면 App Annie와 같은 ASO 전문 툴을 이용하여 맞춤 키워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등록한 키워드들은 수시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 경쟁사의 키워드 랭킹 등을 참고하여 시기에 맞춰 키워드를 주기적으로 변경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3) 기타 사항
카테고리 선정
- Google Play Store에서는 1개, iOS App Store에서는 2개까지 선택 가능합니다.
- 타겟 고객들이 찾기 쉽도록 앱 카테고리 선정을 해야 합니다.
- 가끔은 경쟁률이 낮은 카테고리에 포함시켜 랭킹 상위권을 선점하는 전략을 세울 수도 있습니다만, 완전히 관련이 없는 카테고리에 게재를 하게 되면 앱 스토어 측으로부터 제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하셔야 합니다.
지속적인 리뷰 관리
- 앱 업데이트를 지속하면서 유저들의 리뷰가 어떻게 변화하는 지 지속적으로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 단순히 ASO에 국한 된 것이 아닌, 장기적으로는 앱의 발전과 큰 연관이 있습니다.
- 리뷰에 답장을 수시로 달아주시고, 불만/요청 사항에 대해서는 더욱 빨리 피드백을 하시길 바랍니다.
- 앱 런칭 초반에는 리뷰를 달 사람이 적기 때문에 베타 테스터를 모집하여 리뷰를 받는 방법도 있습니다.
앱스토어 광고
- 안드로이드의 경우 Google UAC, 애플의 경우 Apple Search Ads와 같이 앱스토어 내에서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광고를 운영하는 것이 파급력 측면에서 효과적인 사실은 부인할 수 없지만, 그래도 organic 유저에 대한 트래킹은 지속적으로 진행하시고 그에 맞춰 ASO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직까지는 웹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에 비해서 ASO에 대한 정보가 많이 부족합니다. 하지만 모바일 앱 시장이 점차 성장함에 따라 ASO 기법도 고도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ASO의 기본 개념과 원리에 대해 쉽고 빠르게 파악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참고 자료
- https://developer.apple.com/kr/app-store/search/
- https://www.mobiloud.com/blog/app-store-optimization
- https://www.adjust.com/ko/blog/7-quick-tips-to-optimize-your-app-store-keywords/
- https://go.appannie.com/ASO-Playbook.html
- https://support.google.com/googleplay/android-developer/answer/4448378?hl=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