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앱 마케팅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무엇일까요? 저는 개인화(personalized)된 디바이스 보급이 가장 큰 특징이라 생각합니다.
과거 마케팅의 경우, 다수에게 획일화된 브랜드 이미지를 전파하는게 가장 보편화된 활동이었습니다. 사람들이 많이 오가는 곳에 설치된 옥외 광고부터 TV, 라디오 등 매스미디 어를 통한 브랜드 광고가 주요 마케팅 활동이었습니다.
이후, 가정마다 PC가 보급되고 인터넷 통신이 발달하면서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광고가 주를 이뤘습니다. 그리고 이제는 대부분 스마트폰을 이용한 소통이 주를 이루면서 마케팅 방식이 모바일 체제를 중심으로 변해가고 있습니다.
위 그래프와 같이, 옥외광고에서 모바일까지 이어지면서 광고의 타겟 페르소나는 점점 세분화되어 가고 있습니다. 이제는 1:1 개인 맞춤 마케팅이 모바일을 통해 가능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따라서, 모바일 앱 마케팅을 진행할 때는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이 아닌 개인화 맞춤 진행으로 발전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환경에서 매 순간마다 유저 데이터는 쌓여갑니다. 이 방대한 데이터를 일일이 수집하고 분석하여 마케팅에 적용하려면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마케터가 해야 할 일도 덩달아 늘어나겠죠.
데이터를 활용하여 개인화 맞춤 마케팅을 진행하고 싶은 마케터에게는 마케팅 자동화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입니다.
마케팅 자동화란?
마케팅 자동화(Marketing Automation)는 다양한 마케팅 채널, 캠페인, 과정 등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기술입니다.
지금까지 마케터가 일일이 수동으로 해오던 작업을 마케팅 자동화 기술을 통해 대폭 줄일 수 있습니다. 마케터는 마케팅 자동화 기술을 통해 크리에이티브 작업에 시간을 더 사용할 수 있어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기술이라 볼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전체 고객들에게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메시지만을 전달할 수 있었습니다. SMS나 e-mail, 최근에는 앱 푸시 메세지를 이용하여 동일한 메시지를 예약하여 전달하는 수준이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데이터 분석과 적용 기술의 발전으로 마케팅 자동화 시스템을 구현하고 고객 개인에게 맞춤형 메세지를 보내는 것 또한 가능합니다.
고객들의 니즈와 상황에 맞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은 마케팅 자동화의 궁극적인 목표이기도 합니다. 기업이 유저들과 더욱 강력한 브랜드십을 구축하고, 실제 구매 전환율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케터의 입장에서도 자동화 기술을 통해 시간과 리소스 절약이 가능하고, 오롯이 비즈니스 전략 구축과 발전에 집중할 수 있어 매출과 ROI 증대를 돕는 효과가 있습니다.
앱 마케팅 자동화 종류
앞선 내용을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제 더 이상 마케팅은 매스미디어 중심으로 움직이지 않습니다. 웹 기반을 넘어 모바일 기반에 집중할 시기입니다. 스마트폰 기기 보급의 대중화를 통해 1:1 마케팅이 가능한 시대입니다.
빅데이터 수집과 분석의 발전으로 마케팅 자동화 구현이 가능합니다. 이를 통해 마케터는 크리에이티브나 매출 증진 작업에 더 집중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을 중심으로 하는 마케팅 자동화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을까요? 자사 앱을 보유하고 있는 마케터들이 진행할 수 있는 앱 마케팅 자동화는 크게 2가지 종류로 나뉩니다.
- 푸시 메시지 (Push Message)
- 인앱 메시지 (In-app Message)
크게 유저가 앱을 사용하고 있는지 아닌지 여부와 유저의 사전동의 유무에 따라 푸시 메시지와 인앱 메시지로 나뉩니다.
푸시 메시지는 디바이스의 push notification에 접근하기 위해 유저의 사전 동의가 필요하며 광고 마케팅의 경우 (광고) 라는 표기를 반드시 해줘야 합니다. 또한, 21시 이후 푸시 메시지 발송을 하고자 하면 야간 발송 추가 동의가 필요합니다.
이와 달리 인앱 메세지는 유저가 앱을 사용하고 있을 때 보내는 메시지로 유저의 사전 동의가 필요 없습니다. 푸시 메시지에 비해 인앱 메시지는 유저에게 반드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하지만 리타겟팅을 중심으로 하는 마케팅 캠페인에는 인앱 상태가 아니더라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푸시 메시지가 더 효과적입니다.
앱 마케팅 자동화가 필요한 이유는?
최근 퍼포먼스 마케팅의 중요성이 대두되며 마케터들도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늘어났습니다. 하지만 많은 마케터들이 당장 빅데이터 분석과 활용법을 익히기엔 시간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특히 앱의 경우, 웹과 달리 트래킹과 데이터 수집 및 관리가 까다롭기 때문에 전문 트래커 서비스 없이는 데이터 활용이 어렵습니다.
이처럼 데이터 분석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만 당장 집행하기에는 리소스가 부족한 마케터들을 위해 마케팅 자동화 플랫폼이 필요합니다. 위 기술들을 통해 다양한 경로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오디언스 타겟팅 중심의 캠페인 집행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와이즈트래커에서는 ‘마케팅 액션’이라는 서비스를 통해 푸시 메세지 / 인앱 메세지 캠페인 집행을 돕고 있습니다. 제공하는 세부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자동화된 메시징
와이즈트래커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오디언스 구성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메시지 발송 시점 등 세부 항목을 설정하면 자동화 메시징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특정 오디언스 설정이 아닌 유저들의 행동을 기반으로 메시지를 전송하고 싶을 때는, 특정 행동값을 트리거로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언제 어떤 메시지를 보내야 하는지 알고 있다면, 와이즈트래커는 전략의 실행을 가속화 하는 탁월한 플랫폼이 될 것입니다.
인앱 메세지
앱을 사용중인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행동에 기반한 상황 별 메시지를 전달하여 의미 있는 활동을 장려할 수 있습니다.
앱 내에서 발행되는 인앱메시지는 앱의 디자인 톤앤매너에 맞춰 커스텀이 가능하여 유저들에게 거부감을 줄일 수 있고 시기 적절하게 전달된 메시지로 유저의 conversion을 높이는 효과를 보입니다.
메시징 효과를 높이는 다양한 소재 지원
타겟과의 높은 연관성이 푸시 메시지의 효과를 좌우합니다. 그리고 연관성을 높이기 위해 타겟에게 가장 적합한 형식으로 컨텐츠를 전달해야 합니다.
GIF, 비디오, 높은 퀄리티의 HTML 소재를 활용해 단조로운 텍스트 & 이미지 메시지의 한계를 뛰어넘는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메시징 대시보드
일반 캠페인과 자동 캠페인은 대상과 의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스케줄 설정에 의해 일회성이나 반복 설정으로 동작하는 일반 캠페인과 달리 사용자의 행동 조건에 따라 발송되는 자동 캠페인은 행동 조건을 충족하는 타겟 대상 수, 반응률 등 더욱 다양한 데이터가 발생됩니다.
와이즈트래커는 일반캠페인과 자동 캠페인에 최적화된 전용 대시보드를 제공하여 보다 다채로운 데이터를 알기 쉽게 제공합니다.
메시지 캠페인 분석
아무리 완성도가 높고 유익한 메시지라도, 반복된 메시지는 정보 공해로 인식되어 사용자가 알람을 끄거나 앱을 삭제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할 수 있도록 응답률과 체류시간, 주문/매출 등의 전환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출처
https://www.salesforce.com/products/marketing-cloud/what-is-marketing-automation/
https://kmarketing7.co.kr/blogPost/untitled-35
http://www.openads.co.kr/content/contentDetail?contsId=6015